CrossEditor

문의하기

해당 문서로 오류가 해결이 되지 않거나 기타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crosseditor@namo.co.kr로 문의 메일을 보내 주시길 바랍니다.

오류와 관련하여 문의하실 때에는

  1. 정확한 오류 내역(오류 메시지 포함)
  2. 오류가 발생하는 브라우저 정보(버전 포함)
  3. 에디터 편집 중에 발생하는 경우 재현 가능한 예제

등을 같이 보내 주시길 바랍니다.

오류 목록

  1. "NamoSE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2. 스크립트 오류가 나는 경우
  3. "승인되지 않은 도메인 정보 입니다..에디터 실행을 중단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4. SERVLET 설치 후 오류가 나는 경우
  5. "HTML 파일을 로드하는데 실패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6. 관리자페이지 접속 시 오류가 나는 경우
  7. 패치 후 에디터 UI가 깨지는 경우

해결 방법

1. "NamoSE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namo_scripteditor.js" 링크 확인

"namo_scripteditor.js" 링크 주소를 제대로 입력했는지 확인 바랍니다.

2. 스크립트 오류가 나는 경우

"namo_scripteditor.js" 위치 확인

"namo_scripteditor.js" 링크를 BODY tag 안에 두었는지 확인 바랍니다.

"namo_scripteditor.js" 위치는 HEAD tag 안에 존재해야 합니다.

패치 여부 확인

패치를 적용했을 때 스크립트 오류가 나는 경우 패치 파일 폴더의 모든 파일을 올바르게 덮어씌웠는지 확인 바랍니다.

3. "승인되지 않은 도메인 정보 입니다..에디터 실행을 중단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도메인 확인

빌드 발주 시에 신청한 도메인(혹은 IP)으로 에디터를 구동하지 않은 경우 해당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청한 도메인으로 접속한 것이 맞는지 확인바랍니다.

로컬 테스트 시에는 반드시 해당 도메인을 hosts 파일에 등록해야 합니다.

방화벽 확인

크로스에디터는 구동 시에 나모의 인증서버를 통한 인증과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crosseditor.namo.co.kr(121.254.175.145)"과 80포트로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 바랍니다.

- 크로스에디터를 설치한 서버에서 "crosseditor.namo.co.kr"로 ping이 나가는지 확인 바랍니다.

- 웹 서버와 WAS 서버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엔 WAS 서버에서 ping을 날려야 합니다.

내부망이라 "crosseditor.namo.co.kr"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문의 바랍니다.

쿠키 확인

쿠키를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한 경우 쿠키 사용함으로 변경 바랍니다.

크로스에디터는 성능상의 이유로 여러 번 요청하는 경우에는 쿠키를 통해 인증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패치를 한 경우

work directory에 기존에 컴파일 된 코드가 존재하면 삭제합니다.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하거나 서버를 재시작합니다.

하나의 도메인에서 여러 개의 에디터를 사용하는 경우

같은 도메인에서 서로 다른 빌드의 에디터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쿠키가 충돌이 나서 두 번째로 요청한 에디터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크로스에디터 최신 버전에서는 크로스에디터 생성시의 이름을 변경하면 쿠키 충돌을 막을 수 있습니다.

var CrossEditor = new NamoSE("임의의 이름");

4. SERVLET 설치 후 오류가 나는 경우

설치 확인

SERVLET 설치 방법을 올바르게 적용하였는지 확인합니다.

SERVLET 테스트

"입력한 Context 경로/CrosseditorServlet"으로 요청 후의 결과를 확인합니다.

- null pointer exception이 발생한다면 정상적으로 서블릿에 연결이 된 것입니다.

- 404에러가 난다면 올바른 Context 경로를 다시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js/ext/namo_servletContextPath.js"의 contextPath 부분을 올바르게 수정해 주세요.

입력한 설치 경로 확인

servlet 설치시에 입력한 설치 폴더 경로가 올바른지 확인 바랍니다.

설치 폴더 경로는 "$WebApplication_Root/WEB-INF/classes/NamoCommand.properties"파일의 crosseditorInstallPath 부분에 기록됩니다.

properties파일에 쓰기가 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입력한 후 서버를 재시작 하셔야 합니다.

crosseditorInstallPath=D\:\\workspace\\crosseditor\\

.properties 파일 확인

"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websource/servlet/classes" 폴더가 올바른 "$WebApplication_Root/WEB-INF/"에 옮겨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websource/servlet/classes" 폴더를 "$WebApplication_Root/WEB-INF/"로 이동한 후 서버를 재시작하지 않았다면 재시작해 주셔야 합니다.

크로스에디터에서 제공하는 .properties 파일("$WebApplication_Root/WEB-INF/classes/(EditorInformation, manageInfo, NamoCommand).properties")의 읽기가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 파일에 읽기/쓰기 권한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WebApplication 전체를 war파일로 패키징하는 경우 등의 환경에서 "$WebApplication_Root/WEB-INF/classes/"의 .properties 파일의 읽기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크로스에디터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닌 다른 .properties 파일들은 값을 올바르게 읽는지 확인합니다.

5. "HTML 파일을 로드하는데 실패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브라우저 재시작

브라우저를 완전히 닫고 다시 시작해 보시길 바랍니다.

(SERVLET일 때) 설치 확인

4. SERVLET 설치 후 오류가 나는 경우를 참조 바랍니다.

6. 관리자페이지 접속 시 오류가 나는 경우

설치 확인

크로스에디터 설치 방법에 따라 올바르게 설치하였는지 확인 바랍니다.

(SERVLET일 때) "manageInfo 설정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는 경우

4. SERVLET 설치 후 오류가 나는 경우를 참조 바랍니다.

7. 패치 후 에디터 UI가 깨지는 경우

캐시 비우기

패치 파일을 덮어씌운 후에 에디터를 띄우면 브라우저 캐시로 인해 UI가 깨질 수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브라우저 캐시를 삭제하도록 가이드를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