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운영체제 |
|
---|---|
지원 HTML |
|
지원 웹 언어 |
|
지원 웹 서버 |
|
반드시 순서대로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단일 서버가 아닌 경우 다중 서버 가이드도 같이 참조하셔야 합니다.
크로스에디터는 파일 쓰기를 통하여 관리자에서 설정된 내용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경로에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쓰기 권한을 추가 합니다.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관리자 설정에서 ASP 옵션의 "부모 경로 사용"을 "true"로 변경합니다.
크로스에디터는 ASP.NET 버전의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지 않고 ASP 버전의 관리자를 사용합니다.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관리자 설정에서 ASP가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해 주세요.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관리자 설정에서 ASP 옵션의 "부모 경로 사용"을 "true"로 변경합니다.
php.ini 환경설정 파일의 "allow_url_fopen"을 "on"으로 변경합니다.
commons-fileupload.jar 파일을 설치합니다. (다운로드 사이트: http://commons.apache.org/fileupload/download_fileupload.cgi)
commons-io.jar 파일을 설치합니다. (다운로드 사이트: http://commons.apache.org/io/download_io.cgi)
"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websource/servlet/classes"로 이동합니다.
(톰캣 기준)
<servlet>
<servlet-name>CrosseditorServlet</servlet-name>
<display-name>CrosseditorServlet</display-name>
<description></description>
<servlet-class>
com.namo.crosseditor.controller.CrosseditorServlet
</servlet-class>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CrosseditorServlet</servlet-name>
<url-pattern>/CrosseditorServlet</url-pattern>
</servlet-mapping>
"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 URL/manage/index.html"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Context 경로 입력란에는 SERVLET을 접속할 수 있는 Context 경로를 URL 형식으로 입력 합니다.
예를 들어 SERVLET을 접속 할 수 있는 URL이 "http://www.test.co.kr/crosseditor"인 경우 "/crosseditor"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설정된 Context 경로가 없을 경우 "/"만 입력합니다.
설치 폴더 경로 입력란에는 크로스에디터가 설치된 물리적 경로를 입력합니다.
배포 시 지급된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한 후 관리자 설정 화면이 제대로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 이미지 경로 설정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저장 경로가 아닌 다른 이미지 저장 경로를 설정할 때 이미지가 저장될 서버의 물리적 경로와 물리적 경로에 접근 할 수 있는 URL 경로를 적어 주어야 합니다.
두 가지 정보를 모두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입력이 됩니다.
이미지 저장 URL 경로는 Full URL이나 절대 경로를 입력 하시면 됩니다.
Server의 환경설정 페이지를 엽니다.
"Serve modules without publishing"을 체크해 주시길 바랍니다.
"Serve modules without publishing"을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temp파일을 이용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실제 저장되는 경로와 동작하는 경로가 불일치가 나 정상적으로 크로스에디터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에디터를 삽입할 페이지의 소스에 문서 형식(DOCTYPE)을 지정합니다.
※ 문서 형식을 지정하지 않으면 에디터의 UI나 동작이 정상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head></head>" 태그 사이에 아래의 코드를 추가합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 URL/js/namo_scripteditor.js"></script>
"<body>" 태그 안쪽의 에디터가 들어갈 위치에 에디터 생성 코드를 삽입 합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CrossEditor = new NamoSE("임의의 이름");
CrossEditor.EditorStart();
</script>
"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 URL/manage/index.html"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배포 시 지급된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설치 시스템에 맞게 원하는 값을 입력 후 하단의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서버OS와 서버정보 부분은 에디터 설치 환경 정보를 나타태기 위한 값일 뿐 에디터 동작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를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