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하기

해당 문서로 오류가 해결되지 않거나 기타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crosseditor@namoeditor.co.kr로 문의 메일을 보내주십시오.


오류와 관련하여 문의하실 때에는 아래의 사항을 함께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1. 정확한 오류 내역(오류 메시지 포함)
  2. 오류가 발생하는 브라우저 정보(버전 포함)
  3. 에디터 편집 중에 발생하는 경우 재현 가능한 예제

오류 목록

  1. "NamoSE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2. 스크립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3. "승인되지 않은 도메인 정보입니다. 에디터 실행을 중단합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4. "HTML 파일을 로드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에디터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5. "XML 파일을 로드하는데 실패했습니다. 환경설정 파일을 로드할 수 없습니다. 에디터 기본주소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6. 패치 적용 후 에디터 UI가 깨지는 경우
  7. 에디터에 포커스가 가지 않는 경우

해결 방법

1. "NamoSE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namo_scripteditor.js" 링크 확인

"namo_scripteditor.js" 링크 주소를 제대로 입력했는지 확인 바랍니다.

2. 스크립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namo_scripteditor.js" 위치 확인

"namo_scripteditor.js" 링크를 BODY tag 안에 두었는지 확인 바랍니다.

"namo_scripteditor.js" 위치는 HEAD tag 안에 존재해야 합니다.

패치 여부 확인

패치를 적용했을 때 스크립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패치 파일 폴더의 모든 파일을 올바르게 덮어씌웠는지 확인 바랍니다.

브라우저의 쿠키 및 캐시 정보를 삭제 후 확인해 봅니다.

3. "승인되지 않은 도메인 정보입니다. 에디터 실행을 중단합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도메인 확인

빌드 발주 시에 신청한 도메인(혹은 IP)으로 에디터를 구동하지 않은 경우 해당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청한 도메인으로 접속한 것이 맞는지 확인 바랍니다.

로컬 테스트 시에는 127.0.0.1로 테스트하거나, 해당 도메인을 hosts 파일에 등록 후 도메인으로 접속해야 합니다.

쿠키 확인

쿠키를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한 경우 쿠키 사용함으로 변경 바랍니다.

크로스에디터는 성능상의 이유로 여러 번 요청하는 경우에는 쿠키를 통해 인증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패치를 한 경우

work directory에 기존에 컴파일 된 코드가 존재하면 삭제합니다.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하거나 서버를 다시 시작합니다.

4. "HTML 파일을 로드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에디터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브라우저 재시작

브라우저를 완전히 닫고 다시 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나의 도메인에서 여러 개의 에디터를 사용하는 경우

같은 도메인에서 서로 다른 빌드의 에디터를 요청하는 경우 쿠키가 충돌하여 두 번째로 요청한 에디터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크로스에디터 생성 시의 이름을 변경하면 쿠키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var CrossEditor = new NamoSE(“임의의 이름”);

인증정보 페이지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

크로스에디터 인증 정보를 가져오지 못한 경우 나오는 메시지로, 크로스에디터 설치폴더/websource/웹 언어(asp, aspx, php, jsp)/EditorAuth 파일에서 호출하여 체크하게 됩니다.

EditorAuth 파일에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접근 시 인증정보 값이 보여집니다.)

인증정보 페이지에 접근이 가능하고 정상적인 값이 나온다면 브라우저의 세션 및 쿠키정보 삭제 후 브라우저를 재 시작 해보시기 바랍니다.

서버 자체에도 세션정보가 남아있을 수 있으니, 서버의 세션정보 삭제 후 재 시작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5. "XML 파일을 로드하는데 실패했습니다. 환경설정 파일을 로드할 수 없습니다.
   에디터 기본주소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패치 적용 시 패치 파일을 덮어쓰기 하지 않고, 새로 설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로, 기존의 크로스에디터 설치 폴더에 패치파일을 덮어쓰기 해주시면 됩니다.

6. 패치 적용 후 에디터 UI가 깨지는 경우

캐시 비우기

패치 파일을 덮어쓰기 한 후에 에디터를 띄우면 브라우저 캐시로 인해 UI가 깨질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캐시를 삭제하면 해결됩니다.

또는 work directory에 기존에 컴파일된 코드가 존재하면 삭제 후 서버를 다시 시작합니다.

7. 에디터에 포커스가 가지 않는 경우

크로스에디터에 커서가 가지 않는 것은 IE엔진이 편집모드를 열어주지 않는 것으로, 아래 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크로스에디터를 삽입하는 페이지의 상단에 문서형식(DOCTYPE)을 지정해 주셔야 정상 동작을 합니다.

DOCTYPE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크로스에디터를 삽입하는 페이지의 head 태그 안에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태그를 추가하여 문서모드를 항상 최신 버전에 맞추도록 처리하여 테스트하시기 바랍니다.

단, DOCTYPE이 선언되어 있는 경우에 <meta> 태그를 추가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현재 서비스하는 페이지에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meta> 태그가 선언되어 있다면,

<meta http-equiv= "X-UA-Compatible"content="IE=7" /> or
<meta http-equiv= "X-UA-Compatible"content="IE=8" />

크로스에디터 설치폴더/config/htmls/crosseditor.html 상단의 head 태그에도 동일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참고로 상위에 있는 DTD를 하위에 있는 DTD가 상속을 받아 영향을 받기 때문에, iframe으로 호출한다면 최상위 페이지에도 동일하게 meta 태그를 추가해야 합니다.


호환성 보기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호환성 보기 설정을 강제로 해당 브라우저 버전의 표준으로 설정해 줄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호환성 보기 설정에서 수동으로 웹 사이트를 제거하거나 개발자도구(F12)를 이용하여 브라우저 모드를 표준으로 설정하여 사용해야 합니다.